유용한정보

2022년 주휴수당 계산기 계산법 지급기준 조건 시급

피리얀 2022. 2. 23. 10:25
반응형
2022년 주휴 사당 계산기
계산법 
지급기준
조건
시급

2022년 주휴수당 계산기 계산법 지급 기준 조건 시급
주휴수당이란

★ 주휴수당 이란?

 

노 당자가 유급 주휴일에 받는 돈을 말하며, 대한민국의 근로기준법상

사용자는 1주일동안 소정의 근로일수(15시간 이상)를 개근한 노동자에게

1주일에 평균 1회이상의 유급휴일을 주어야 합니다.

이 유급휴일을 주휴일이라고 합니다.

주휴수당이란2

사용자는 주휴일에 통상적인 근로일의 하루치 시급을 주급과 별도로

산정하여 노동자에게 지급하여야 합니다. 이것을 주휴수당이라 합니다.

주휴수당계산법

★ 주휴수당 계산법

 

주휴수당은 1일 소정근로시간 x시간급으로 계산합니다.

주 5일 근무제를 하고 있고 하루 8시간 주 40시간 근무한다면

8시간 x시급의 주휴수당을 받게 됩니다.

마찬가지로 하루 3시간 주 5일 근무한다면

3시간 x시급의 주휴수당을 받게 되는 것이죠.

 

※주 15시간은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는 최소 근무시간입니다.

주휴수당 지급못받은 이유는

만약 사용자가 단기 아르바이트생 일라고 지급해야 할 주휴수당을

지급하지 않는다면 임금체불로 인한 전정서를 넣어 신고

할 수 있습니다.

 

이는 시급(단기나 장기 알바)을 받고 근로하는 노동자에 한하며

월급으로(연봉) 받는 근로자는 월급에 주휴수당이 포함되어있습니다.

 

주휴수당 기준조건

★ 주휴수당 지급 기준 조건

 

-이는 1주일 동안 개근을 하였다는 전제가 있어야 하며

다음 주에도 근로가 예정되어있어야 합니다.

 

-1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로를 해야 합니다.

 

-근로계약서를 작성할 시 계약서상에 약속된 근로일을 개근해야 합니다.

주휴수당은 필수

위의 3가지는 지급 조건이며

 

근로자의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.

 

청소년 근로자, 외국인 근로자, 파트타임 근로자, 비정규직, 정규직

등 모든 근로자가 대상이 됩니다.

 

★ 주휴수당 계산기

 

주휴수당 계산기라고 네이버에 검색만 하셔도 아래처럼 뜹니다.

주휴수당계산기

 

반응형